Search

:: 매일경제 증권 - 매일경제

divertissementgo.blogspot.com
프랑스 낭만주의를 대표하는 화가 외젠 들라크루아는 1832년 1월부터 7월까지 프랑스 외교사절단의 일원으로 참가해 북아프리카의 보석으로 불리는 모로코와 알제리를 방문하였다. 특히 그는 1830년부터 프랑스의 식민지가 된 알제리의 수도 알제에서 사흘밖에 머물지 않았지만, 이슬람 문화에 강렬한 인상을 받았다. 그 중에서도 이슬람 여성들만의 공간인 ‘하렘’을 보고, ‘알제의 여인들(1832년)’이라는 작품을 비롯해 침대에 배를 깔고 비스듬히 누운 이슬람 여성을 주제로 한 ‘오달리스크(Odalisque; 오스만 제국 시절 궁전 밀실에서 왕의 시중을 들던 궁녀들을 지칭하는 대명사)’ 등을 그려냈다. 1906년 야수파의 앙리 마티스는 외젠 들라크루아의 영향을 받아 직접 알제리를 찾아왔고, 오스만 제국의 궁정에서 시중을 들던 여자들을 주제로 한 ‘오달리스크’를 수십 점 그렸다.이처럼 푸른 지중해와 강렬한 태양이 인상적인 알제리는 외젠 들라크루아와 앙리 마티스 이외에도 수많은 화가의 붓을 통해 유럽으로 알려졌다. 무엇보다 알제리를 유럽에 많이 알린 예술가는 프랑스 이민자 3세대 출신인 알베르 카뮈이다. 우리에게도 이방인(The Stranger·1942년)>, 페스트(The Plague·1947년)>, 전락(The Fall·1956년)> 등으로 잘 알려진 철학자이자 문학가인 카뮈가 바로 알제리 출신이다.
1913년 11월 알제리의 수도 알제의 허름한 동네인 몽도비의 벨쿠르트에서 가난한 포도주 제조공의 아들로 태어난 카뮈. 그의 아버지는 1차 대전 때 전사하였고, 청각 장애를 앓고 있던 홀어머니 밑에서 성장기 대부분을 수도 알제에서 보냈다. 아이러니하게도 카뮈의 가족들은 문맹이었지만, 카뮈는 운 좋게도 중등학교를 진학해 글을 배웠다. 무엇보다 소년 카뮈가 어릴 적부터 좋아하고 탐닉했던 것은 오로지 지중해의 태양과 지중해 그리고 알제의 거리였다. 마흔네 살에 노벨 문학상을 받은 카뮈는 프랑스인이자 알제리인이라는 이중의 정체성에 시달려, 어딜 가나 ‘이방인’으로 취급받았다.

눈부시게 아름다운 태양을 바라봐도, 맑은 지중해의 바람을 쐬어도, 알제리 시민들의 삶의 흔적이 고스란히 담긴 알제의 수많은 거리를 방황해도 그는, 영원한 이방인이었다. 하지만, 그는 자신의 작품을 통해 알제리를 사랑하고 그리워했다.

위로는 지중해를 아래로는 사하라 사막을 품고 있는 알제리는, 선사시대 때부터 아프리카 원주민인 베르베르족이 살았던 지역이었다. 기원전 9세기에는 카르타고, 기원전 2세기에는 로마제국이, 7세기에는 아랍의 이슬람이, 16세기에는 오스만 제국이 알제리를 지배하였다. 1830년에는 프랑스가 오스만 튀르크를 물리치고 알제리를 프랑스의 식민지로 삼았고, 카뮈가 죽은 지 2년 후인 1962년 비로소 알제리는 프랑스로부터 독립하였다. 한마디로 알제리의 역사는 3000여 년 동안 외세의 침략으로 하루라도 편하지 않았다. 그 결과 로마와 비잔틴 문화, 아랍의 이슬람 문화, 프랑스의 유럽 문화가 혼재돼 알제리만의 이색적이고 독특한 문화가 만들어졌다. 이런 문화는 외젠 들라크루아, 앙리 마티스, 파울 클레, 알베르 카뮈 등 수많은 예술가에게 영감을 주었고, 그들의 작품 속에 등장하였다.

세계에서 10번째로 국토 면적이 넓은 알제리, 그 중심의 도시가 바로 수도인 알제이다. 알베르 카뮈가 자신의 작품을 통해 알제리를 향한 애정을 드러냈듯이 이곳에 첫발을 내딛는 순간 그가 좋아했던 지중해 바람과 뜨거운 태양 그리고 하얀색으로 칠해진 알제의 뒷골목 풍경이 한 폭의 그림처럼 펼쳐진다.

지중해 연안을 끼고 있는 수도 알제는 아랍어로 ‘작은 섬’이라는 뜻의 ‘알자자이르’에서 유래됐고, ‘하얀 여인’이라는 별칭을 가진 도시이다. 이곳은 1529년 오스만 제국이 알제리의 지배를 강화하기 위해 항구를 건설한 것에서 시작됐다. 이미 알제는 카르타고 시대 때 ‘이코심’, 로마 시대 때 ‘이코시움’이라 불렀고, 16세기에 오스만 제국의 식민지가 되면서 알제리의 행정·상업의 중심지로 번영하였다. 1830년 프랑스에 점령된 후 프랑스풍의 근대 도시로 발전하였고, 1962년 알제리의 독립과 함께 프랑스 문화와 북아프리카 이슬람 문화의 접점의 중심지가 되었다.

알제의 첫인상은 ‘하얀 도시’라는 별칭답게 산뜻하고 아름답다. 구시가지 중심인 카스바에는 대부분 흰색 건물이 많고, 역사적으로 이민족의 문화가 많이 섞여 여러 양식의 건물들이 눈에 들어온다. 이슬람 국가이지만, 수도 알제에 프랑스계 알제리인들이 많이 거주하기 때문에 이슬람 사원 근처에 ‘노트르담’이라고 불리는 가톨릭 성당도 자리한다. 이런 이유로 프랑스풍의 건축물과 이슬람의 건축물이 혼재돼 유럽인지 이슬람 국가인지 정체성이 조금 헷갈린다.

본격적으로 알제의 참모습을 감상하기 위해서는 1992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구시가지 카스바로 가야 한다. 이곳은 지중해에서 가장 아름다운 해변 지역 중의 하나로, 알제리의 과거의 모습을 볼 수 있는 역사의 현장이다. 이 지역은 19세기 이후 북아프리카의 여러 도시가 유럽의 식민도시로 전락하면서 이슬람의 구시가지와 성곽 전체를 포함하여 ‘카스바’라고 불렸다. 아랍인은 아랍풍의 구시가지를 카스바와 구별하기 위하여 ‘메디나’라고 불렀는데, 여기서 메디나는 아랍어로 ‘도시’ 또는 ‘시가지’를 뜻한다. 구불구불한 좁은 골목길을 따라 걷다 보면 오래되고 낡은 하얀 집들, 옛 모스크, 오스만 제국의 궁전 등을 볼 수 있다. 지금은 달동네처럼 낙후된 지역으로 변해 버렸지만, 오랫동안 알제의 중심지이었고, 알제리의 오욕 역사와 함께해 온 카스바 거리와 미로처럼 얽히고설킨 골목길에는 삶을 꿋꿋이 헤쳐 나온 사람들의 찐득한 눈물의 향기가 배어 있다. 우리에게 잘 알려진 1930년대 프랑스 영화 중 가장 성공한 영화 망향>과 1966년 베니스 국제영화제에서 황금 사자상을 받은 질로 폰테코르보 감독의 알제의 전투> 등이 바로 알제의 카스바를 무대로 한다. 물론 청년 알베르 카뮈도 카스바의 좁은 골목길을 배회하며 자신의 정체성을 찾으려고 부단히 애썼다.

지금은 그의 흔적과 성채 그리고 성벽이 거의 남아 있지 않지만, 야트막한 언덕을 따라 하얀색으로 칠해진 집들이 다닥다닥 붙어 있어 한 폭의 수채화를 연상시킨다. 무엇보다 카스바의 골목길을 헤매다 보면 아랍의 따뜻한 분위기와 알제의 서민들의 삶을 한눈에 느낄 수도 있다.

낯선 골목길과 낯선 사람들 그리고 낯선 음식들이 서서히 익숙해질 무렵, 문득 카뮈의 이방인>에 나오는 글귀가 떠오른다. “엄마가 늘 말하기를 사람은 무엇에나 결국은 익숙해지는 것이라고 했다.”

[이태훈 칼럼니스트]

[본 기사는 매경LUXMEN 제118호 (2020년 7월) 기사입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Let's block ads! (Why?)




July 07, 2020 at 08:35AM
https://ift.tt/3iFg9Z9

:: 매일경제 증권 - 매일경제

https://ift.tt/2Asl6Dv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 매일경제 증권 - 매일경제"

Post a Comment

Powered by Blogger.